주제탐색(3)
명화 감상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중심 예술교육활동이 유아의 그림감상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실험 과정
- the types of the famous painting appreciation 명화감상유형
1) Focusing on the meaning of the work
2) Appreciating the works with a common theme
3) Focusing on the works of the artist
4) Appreciating the works of various artists at the same time
5) Appreciating the work after repainting its part by going through modification and supplement
6) Appreciating and comparing the works of the two artists with a similar theme
- Storytelling types 스토리텔링유형
1) To reinterpret and tell the meaning of the work
2) To tell from one's own experience
3) To imagine and tell as befits the work atmosphere
4) To listen to the story of correlation between the artist and his or her work
5) To compare or explain the work
1단계: 명화감상활동
격주 화요일 대집단 활동으로 실시.
각 감상활동마다 명화감상유형 1가지, 스토리텔링유형 2가지를 적용. '화가와 작품과의 연관성 이야기 듣기 ( 4. To listen to the story of correlation between the artist and his or her work)는 필수로, 나머지는 4가지 유형 중에서 선택
2단계: 예술표현활동
언어, 음악, 미술, 신체 등 4개 표현활동으로 구성. 각 영역별로 1개의 대집단활동과 1개의 자유선택활동으로 구성.
언어: 동시 짓기 / 화가나 등장인물에게 편지쓰기
음악: 노랫말 바꾸어 부르기 / 그림 속 이야기 악기로 연주하기
미술: 그림의 일부분을 수정, 보충하기 / 다른 미술재료로 표현하기
신체: 그림 속 이야기 표현하기 / 등장인물의 표정이나 동작 표현하기
3단계: 전시 및 평가활동
유아들의 표현활동 결과물을 미술감상코너에 전시. 자신의 작품을 소개, 감상하고 다른 작품과 비교하여 느낌을 이야기함
연구 결과
1) 그림감상능력
그림감상능력 전체점수 증가분에 있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
하위영역(관찰 및 묘사, 작가의 주제표현 의도, 작품의 분위기, 재료와 기법, 미술의 요소, 작품에 대한 태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
2) 창의성
창의성 전체점수 증가분, 하위영역(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
--> 스토리텔링 중심의 명화감상에 기초한 예술교육활동은 유아의 그림감상능력과 상상력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https://www-dbpia-co-kr-ssl.access.ewha.ac.kr/pdf/cpViewer
내러티브 중심 미술 감상 교육이 초등학생의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내러티브 중심 미술 감상 교육
이야기가 중심이 된다. 이야기는 작품 안에 있을수도 밖에 있을수도 있다.
작품 안의 이야기: 미술 관련 이야기, 미술사가 포함됨
작품 밖의 이야기: 교사와 학생의 경험이 포함됨
이야기가 주요 감상 요소가 되는 미술감상. 학생들은 이야기 속에서 모두 주인공이 된다.
초등학생이 자신을 이해하는 효과적인 미술 감상 방법으로 내러티브 중심 미술 감상 교육은 '학생의 경험'에 초점ㅇ르 ㅁ자춘다. 이야기에서 학생들은 주인공이 되고 자신의 경험을 통해 작품을 이해함으로써 작가와 자신에 대한 이해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는 자신의 삶을 투영시키고 성찰하는 과정을 통하여 작품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뿐만 아니라 자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갖추어야 할 자아정체성의 의미를 고찰하고 내러티브 중심 미술감상교육을 적용한 교육이 자아정체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함.
초등학교 6학년 대상 연구
내러티브 : 어떤 것에 대해 서술하는 것. 단순히 말하는 것을 넘어 일련의 사건들 사이의 연결성이 있는 이야기임.
하나 혹은 일련의 사건에 질서를 부여하고 글이나 말의 형태로 전달함. 개인적 또는 사회적으로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만들어내며 자신뿐만 아니라 삶 전반에 걸쳐 영향을 준다.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삶에서 의미와 가치를 구성하도록 한다.
미술교육에서의 내러티브 : 학생의 경험이 깃들어 있는 체험, 감상, 표현활동.
유형 : 수업 소재로서의 내러티브(미술가의 이야기, 작품의 맥락, 미술사, 교사와 학생의 이야기...), 전달 수단으로서 내러티브(수업전개, 내러티브, 이미지의 내러티브), 인식의 도구로서 내러티브(단순한 말하기유형에서 벗어나 과거와 현재의 경험을 재구성하고 현상을 인식하는 도구)
연구 내용
교실 및 각 가정에서 진행. 학생들은 미술 수업을 들으며 편안하게 감상과 표현활동을 한다.
작품 선정 기준: 친숙성, 흥미성, 치유성, 서사성, 다양성
수업도구
- 내러티브 중심 미술 감상 수업 모형
맥락: 적절한 내러티브 선정 -> 탐구질문: 학생들이 협동적으로 지식을 생성하기 위하여 교사가 각 학문의 특성에 따라 탐구질문과 탐구조사를 설계 -> 목표필터: 학생들이 찾아낸 탐구질문을 학습 목표에 적절한 질문으로 거르고 다듬음 -> 탐구조사: 학생들의 목표 도달을 위하여 조사연구, 연구활동, 분석, 검사, 실험 -> 완성 및 정리
세부 진행 내용 (소제목: 각 전시 이름 / 선정한 대표 작품)
1) 에바 알머슨 Vida / <함께>
- 에바 알머슨 작품 감상하기
- 나의 경험이 떠오르는 작품 고르기
- 경험 나누기(가족, 친구들과 있을 때 나의 역할)
- 그림일기로 나의 경험과 감정 표현하기
학습단계 | 교수/학습 활동 | 자료 및 유의점 |
내러티브 활성화 | - 그림 안에서 나와 비슷한 동물은 누구인가요? - 왜 그렇게 생각하나요? |
- 동물 가족사진 - 동물 사진을 보며 가족안에서 나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 생각해보게 함 |
작품 / 연결 / 구성의 내러티브 | * 작품 감상 - 작품에서 무엇이 보이나요? - 작품들에 공통점이 있나요? - 어떤 분위기나 감정이 느껴지나요? - 그런 감정을 느꼈던 순간이 있나요? * 작품에 공감하기 - 감상한 작품 중 가장 공감되는 작품 고르기 - 작품에서 떠오르는 경험과 그때의 감정 - 작품 안에서 '나'를 정하고 다른 인물들이 나에게 어떤 말을 할지 말풍선 채우기 * 작품으로 상상일기 그리기 - 선택한 작품을 상상일기 활동지에 붙이고 그림일기 적어보기 - 그린 작품에 일기 서보기 - 친구의 그림일기를 보고 떠오르는 경험이나 감정 말하기 |
- 교사 ppt - 말풍선 스티커 - 출력된 작품 사진 ㄴ 말풍선을 채울 때는 긍정적인 언어를 쓸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설명해주기 - 상상일기 활동지 ㄴ 댓글은 긍정적인 메시지 위주로 |
공유 및 내면화 | - 수업을 통해 알게 된 점 - 친구들의 일기를 보고 느낀 점 |
- 경험을 통한 활동을 다시 살펴보며 행복한 순간과 소중하게 여기는 것을 상기 |
2) 구상의 몬드리안 / <빨강,파랑,노랑의 구성>
- 몬드리안의 생애과 그림의 변천사 살펴보고 단순화 작업 탐구하기
- 사진 안에 담긴 '나'에 대한 경험과 감정 나누기
- 단순화 작업을 통해 추상화 완성하기
- 완성된 작품에 레이블 붙여보기
학습단계 | 교수/학습 활동 | 자료 및 유의점 |
내러티브 활성화 | - 추상화를 보고 무엇을 그린 것인지 추측하기 - 왜 작가는 이렇게 표현했을까요? 작가의 마음 추측 |
- 두스부르흐의 '소' 작품 사진 |
작품 / 연결 / 구성의 내러티브 | * 몬드리안 알아보기 - 몬드리안의 작품의 특징 - 몬드리안의 생애와 그림의 변천사 - 어떻게 변화했고 왜 그랬을지 - 단순화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 나를 다양하게 표현하기 - 나에 대한 생각을 맛, 느낌, 감정, 모양으로 표현하기 - 나의 다양한 경험들과 그때의 느낌들을 떠올리며 나를 닮은 사물이나 동물 생각하기 * 나의 사진 작품화하기 - 가져온 사진을 꺼내 어떻게 단순화할지 구상 - 사진을 보며 학습지를 통해 단계별 단순화 해보기 - 최종 단순화 그림을 도화지에 옮겨 채색하기 - 완성 후, 내 작품이 미술관에 전시된다 생각하고 작품 레이블 붙이기 - 친구들의 작품 감상하기 |
- 교사 ppt - 마인드맵 학습지 - 단순화 학습지 - 채색 할 때는 사진 속 장면에서 떠오르는 감정과 어울리는 색깔로 채색하도록 안내 |
공유 및 내면화 | - 사진을 그림으로 옮기면서 든 느낌 - 추억의 색깔을 어떻게 표현했나요? - 친구들의 일기를 보고 느낀 점 |
- 경험 공유 |
3) 추상표현주의 거장, 마크로스코 / 제목없음(Violet, Black, Orange, Yellow and White and Red)
- 마크로스코 작가의 일생과 감정 추측해보기
- 평온한 음악을 들으며 행복했던 순간 떠올리기
- 행복한 감정에 어울리는 자신의 색 떠올려 작품 만들기
- 친구들과 함께 작품 감상하고 느낀 점 나누기
학습단계 | 교수/학습 활동 | 자료 및 유의점 |
내러티브 활성화 | - 어떤 작품이 더 잘 그린 그림인가요? -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
- 정밀화와 추상화 작품 비교 |
작품 / 연결 / 구성의 내러티브 | * 마크로스코 알아보기 - 마크로스코의 일생과 작품변화 알아보기 - 마크로스코 채플과 작품을 감상하며 그의 마음 읽어보기 - 마크로스코 작품을 보며 떠오르는 경험 이야기하기 * 명상하기 - 음악을 들으며 나의 내면에 집중하기 - 떠오르는 경험과 단어, 그에 어울리는 색깔 상상하기 - 어떤 경험이 떠오르나요? - 그에 어울리는 감정과 색은? * 나의 자유 그림 만들기 - 다양한 색 중 1~4가지 선택해 나만의 치유 그림 만들기 - 자신의 경험과 그때의 감정을 떠올리며 그려보기 - 작품 전시 |
- 작품감상은 수용적인 태도로 의견을 들어주기 - 명상 음악 파일 - 편안한 자세로 참여하나 진지하게 명상에 임할 수 있도록 유도 - 밝은 느낌의 음악 활용하여 긍정적 경험을 떠올리게 |
공유 및 내면화 | - 친구의 작품 감상, 나의 경험과 감정을 떠올려 제목 지어보기 - 알게된 점, 치유그림을 그려본 소감 |
4) 마르셸 뒤샹전 / <샘>, 일상의 예술: 오브제 / <무엇이 사라지고 있는가>
- 오브제 작품 감상하기
- 나에게 의미 있는 물건을 여러가지 형태로 조합해보기
-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며 제목 붙이기
- 친구의 작품을 통하여 떠오르는 경험 나누기
학습단계 | 교수/학습 활동 | 자료 및 유의점 |
내러티브 활성화 | - 이 작품이 왜 전시되었을지 추측해보기 - 전시된 작품의 특징 |
- 뮤지엄 <산> 송중기 '스케이트' 작품 |
작품 / 연결 / 구성의 내러티브 | * 오브제 작품 감상하기 - 전시를 감상하고 오브제의 의미 알아보기 - 오브제 작품에 자기나름의 제목 붙이기 - 작품에서 떠오르는 모습, 자신의 경험 * 나만의 오브제 만들기 - 자신의 물건을 활용해 만들 수 있는 오브제 구상 - 물건을 다양하게 배치해보며 작품 스케치 - 완성, 전시 |
- 자신의 추억이 담긴 물건들로 작품 만들기 |
공유 및 내면화 | - 친구의 작품 감상, 제목 붙이기 - 자신의 작품에 붙은 제목 중 의도와 가장 가까운 것 고르기 - 알게된 점, 소감 |
- 경험 공유 |
5) 르네 마그리트 특별전 / <청취실>
- 르네 마그리트 작품 감상하기
- 데페이즈망 기법 알기 (초현실주의?)
- 미래의 나 상상하기
- 미래의 모습을 그림으로 표현하여 데페이즈망 작품 만들기
학습단계 | 교수/학습 활동 | 자료 및 유의점 |
내러티브 활성화 | - 그림책 읽기 - 여러분도 신기한 상상을 할 때가 있나요? |
- 앤서니 브라운 <거울 속으로> 그림책 |
작품 / 연결 / 구성의 내러티브 | * 르네 마그리트 알아보기 - 작품 감상, 특징 말하기 - 생애 알아보기 - 떠오르는 경험, 감정 말하기 * 미래의 나 상상하기 - 미래의 나의 모습 상상하며 생각나는 단어를 마인드맵에 나타내기 * 데페이즈망 작품 만들기 - 작품에 활용하고 싶은 단어 그림으로 나타내기 - 자신이 원하는 배경 선택하기 - 그림을 자르고 배경에 자유롭게 배치하여 작품 만들기 - 친구들의 작품 감상 |
- 미래의 자신 상상할 때 성격, 주변 사람들, 좋아하는 것 등 다양한 예시를 떠올릴 수 있도록 - '낯설게 하기'에 초첨 맞추기 |
공유 및 내면화 | - 알게 된 점, 느낀 점 |
RISS 검색 - 학위논문 상세보기
It can be said that the final aim of art is a process of creating meaning in life. When people say the purpose of an art work on a small scale, though they say the purpose of art in a large scale, it is something that facilitates communication by deliverin
m.riss.kr
그림책을 활용한 아동미술교육 방안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글 텍스트는 대상이 무엇을 어떻게 했는지 이야기해주는 ‘기술적’ 역할을 한다. 즉, 대상이나 과정의 내용과 특징들을 있는 그대로 열거하여 서술한다. 또한 하나의 이야기가 선형적인 구조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내용이 전개된다.
반면에 그림 텍스트는 대상의 특징을 묘사함으로써 이야기를 확장해주는 ‘서술적’ 역할을 한다. 즉, 글로써 묘사가 불가능한 부분을 그림이 서술해준다. 또한 글 텍스트와는 달리 비선형적 구조로 전개되어, 독자가 어떤 순서와 방식으로 그림을 보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기도 한다. 이 두 개의 텍스트는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그림으로는 내면의 복잡한 감정의 변화를 전달하지 못하는 것을 글이 설명해주기도 하고, 글로 표현하지 못하는 분위기나 심상을 그림이 설명해주기도 한다. 니콜라예바(Nikolajeva)는 글 텍스트는 글 텍스트대로, 그림 텍스트는 그림 텍스트대로 서로의 빈자리를 채우기도 하며 또는 독자나 감상자가 채우게 빈자리를 남겨두는 경우도 있다고 말한다.
그림책에서 글과 그림 관계
1) 대응 관계
-축소 : 글의 내용과 그림의 내용이 일치하면서, 그림이 글보다 더 단순화되어 있는 관계
-정교화 : 글의 내용과 그림의 내용이 일치하면서, 그림이 글의 내용을 상세하게 묘사하는 관계
2) 상호보완 관계
글과 그림이 가지는 특성에서 서로 보완될 점을 보충해주며 전개되는 관계. 그림이 글에서 설명하지 않은 풍경 묘사와 구체적인 상황, 은유적 표현으로 글의 내용을 보다 세밀하게 나타내는 등
3) 굴절 관계
글과 그림의 내용이 서로 반대의 이야기를, 이야기 전달 효과를 높이기 위해 작가가 의도적으로 글과 그림의 내용이 상반되게 표현하는 경우
현대 어린이 미술관(MOKA)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교육 방안 / 예시 도서
클라스 베르플랑케 <꿈의 화가, 르네 마그리트>
화가 르네가 주인공인 동화책. 화가이지만 그림을 그릴 수 없는 르네가 꿈속에서는 다양한 그림을 그려낼 수 있게 되고, 현실에서 그의 바람처럼 그림을 마음것 그릴 수 있었던 르네는 자신과 세상을 발견하는 상상의 세계로 떠나는 것으로 이야기가 끝남.
이 책을 통해 초연실주의 화가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과 그의 작품관을 하나의 꿈속 이야기로 대신하여 설명해줌. 꿈이라는 장치를 통해 마그리트의 작품과 초현실세계를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고, 르네 마그리트의 대표작을 작가만의 방식으로 재탄생시켜 곳곳에 숨겨 놓는 장치를 통해 작품을 다른 방식으로 감상할 수 있게 도와줌.
앤서니 브라운 <미술관에 간 윌리>
그림을 그리고 보는 것을 좋아하는 침팬지 윌리가 스케치북에 그림을 그림. 보티첼리 <비너스의 탄생>을 보고 그리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16점의 명화 속에 자신을 직접 그려넣으면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나감. 이 책은 명화를 패러디하는데만 그치지 않고, 그림에 담긴 이야기를 생각해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는 것처럼 보임.
마지막 부분에는 윌리가 침팬지 가면을 벗고 방을 나서는 장면이 나오는데 사람의 뒷모습이 보임. 즉 윌리는 작가 자신임. 이는 미술관에 가서 그림을 감상하는 것이 재밌고 신나는 일이라는 것을 말하려는 작가의 의도가 담겨있음을 알 수 있음. 이를 통해 독자가 자연스럽게 명화를 이해하고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줌
https://www-dbpia-co-kr-ssl.access.ewha.ac.kr/pdf/pdfView.do?nodeId=NODE11185600
N2 OpenLink User Authentication
access.ewha.ac.kr
학습지원대상 학생을 위한 관찰과 질문을 통한 미술관 체험 학습 방안
미술관 체험 학습의 개념 및 지도방향
1. 미술관 학습의 개념
- 미술관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 미적 체험뿐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의미 있는 체험을 통해 종합적 지능을 계발할 수 있도록 도움
2. 미술관 교육의 지도 방향
미술관 전시는 "어떤 개념이나 주제를 전달하기 위해 작품을 선택하고 새로운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의미를 부각시켜 관람자와 만나는 것" 이라고 정의
비형식적, 다양한 연령/관심/배경, 실생활과 관련된 과제,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학습자 중심 학습.
3. 미술관 학습의 지도 방향
전시물 기반의 실물 학습으로 맥락성과 상황성을 지닌 전시물의 사회문화적 가치와 의미를 이해. 실재적 감각 촉진
4. 미술관 학습을 위한 교육적 접근
1) 시각적 문해력 : 시각 이미지의 의미를 읽고 해석하고 표현하는 능력
2) 시각적 사고 전략(VTS) 교수학습방법
visual thinking strategies : 미국 뉴욕현대미술 MoMA의 미술고나 에듀케이터였던 예나윈에 의해 개발된 질문 기반 교수학습방법. 대화 중심 미술 감상법으로 소개됨. 교사의 설명이 아닌 학생이 자세한 관찰을 통해 함께 작품의 의미를 발견하고 협력하여 지식을 구성해 나가도록 도움.
- 시각적 사고 전략의 5가지 수행
- 작품을 주의 깊게 관찰하기
- 그들이 관찰한 것이 무엇인지 이야기하기
- 관찰한 점에 대한 근거를 뒷받침하기
- 다른 관찰자의 의견을 듣고 생각하기
- 관찰자들의 다양한 의견에 대해 토의하기
- 시각적 사고 전략의 교육 목표
- 전시물을 점점 더 복합적으로 바라보기
- 발달 단계에 맞춰 질문에 대답하기
- 교사의 지도 아래 그룹 토의에 참여하기
- 시각적 사고 전략의 교육과정
- 조용히 바라보기 : 토의를 시작하기 전 작품을 조용히 바라보는 시간을 줄 것
- 질문하기 : 이 작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 무엇을 보고 그렇게 말했나요? / 또 무엇을 찾을 수 있나요?
- - Yenawine(2019,) 임보연(2018), 조혜진(2020)은 다음의 3가지 핵심 질문에 대답하도록 하고 있다.
- 사고전략: 관찰 " 이 작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생각을 구조화해 보다 깊게 작품에 몰입하게 함. 전시물이 말하려는 것을 찾아내고 보이는 것 이상을 관찰하도록 함.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중요한 기본 활동 - 사고전략: 해석 " 무엇을 보고 그렇게 말했나요?"
자신이 관찰한 근거를 찾도록 유도. 의견을 이야기하고 전시물에서 관찰한 것과 연결하여 추론. 관찰을 토대로 전시물을 해석할 수 있게 해주며 해석의 근거 제시 - 사고전략: 아이디어의 유목화를 통한 결론 " 또 무엇을 더 찾을 수 있나요?"
아이디어를 유목화해 정리하면서 자신이 발견한 의미를 추론, 잠정적인 결론을 내리도록 유도함. 의미를 만드는 과정. 깊이 관찰하고 고민하면서 생각을 변화시키고 확장시켜 사회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음
- 사고전략: 관찰 " 이 작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 이야기에 반응하기 : 가리키기(관찰한 것을 손으로 가리키기) / 바꾸어 말하기(각각의 의견을 바꾸어 표현) / 연결하기(학생들의 의견과 반응을 모두 연결)
- 수업 정리하기 : 학생들의 참여에 고마움을 표하며 마무리
질문을 통한 미술관 전시물 탐구 방법
후퍼 그린힐의 통합적 접근에 따른 관점 (Hooper Greenhill, p.110, 1991.: 백령, p.92, 2005.에서 재인용.)
관점 | 내용 | |
사용 | 언제/왜/누가/누구를 위해/무엇을 위해/변화 | 연제 쓰였으며, 누구를 위해 어떤 이유에서 이용되었으며 이로 인한 변화는 어떤 것이 있었는가? |
생산 | 언제/어디서/누가/누구를 위해/어떻게/왜 | 언제, 어디서, 누가, 누구를 위하여, 어떻게, 왜 제작했는가? |
소재 | 어디서 온/왜 안 되는가/왜/어떤 것/자연, 인공 | 어디로부터 온 어떠한 재료(자연/인공)가 왜 이용되었으며, 대용할 다른 재료는 없었는가? |
디자인 | 장식/재료/기능/양식/연관/비용 | 장식과 기능 중 어떤 것이 더 강조되었으며 어떠한 화풍이나 양식인가? 어떤 재료가 쓰였으며 연관되는 다른 것은 없었는가> |
다른 정보와의 비교 | 서적/사람/사이트/박물관 기록/기록자료, 연구물/비디오, 영상물/다른 유물/사진/드로잉 | 관련된 책,사진,유물,비디오와 영상물, 기록자료와 연구물은 어떤 것이 있는가? |
의미 | 생산 당시의/오늘날의/작가에게/소유자에게/국가적으로/다른문화에서/나에게 | 생산 당시의 소비자와 소유자에게는 어떠한 의미가 있으며 오늘날 우리와 이용객에게, 또 다른 문화권에는 어떤 의미인가? |
연상 | 개인적/사회적/시간의 흐름/다른 문화에서 | 개인적 사회적 연계성과 시간의 흐름 속에서 또 다른 문화 속에서 연관성은 있는가? |
교수*학습 과정
1. 도입: 조용히 바라보기
작품에 대해 눈으로 관찰, 다양한 감각을 통한 감상으로 이어지도록 함
- 작품에 다가서기 : 충분한 시간을 두고 관찰, 가장 인상깊은 작품 고르기
- 작품 마주하기 : 인상깊은 작품 하나를 다시 관찰. 오랜시간 관찰. 이미지 연상, 경험과 연결
2. 전개: 질문하기
- 메모하며 관찰하기
- 질문하기 방법으로 감상하기: 이 그림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 무엇을 보고 그렇게 말했나요? / 또 무엇을 더 찾을 수 있나요? / 이 그림을 보고 떠오르는 장면이 있나요? / 내가 작가라면 무엇을 그리고 싶나요?
- 나만의 방법으로 표현하기
3. 마무리: 활동 정리하기
- 서로의 작품 관찰하기
- 궁금한 점 질문하기
- 활동 되돌아보기를 위한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