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주차
3. 인터랙션과 사용성
1. 인터랙션의 종류
Interaction : 상호작용, 관계, 소통, 반응
- 정보통신, 디자인에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컴퓨터를 인간에게 좀더 쉽고 쓸모있게 함으로써 인간과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 개선
Interaction의 방법
1) Touch interaction
감압식: 누르는 힘을 감지해서 위치 탐색
- 손가락이 아닌 비도체로도 작동 가능
- 느린 반응속도, 멀티터치 기술 적용 어려움
정전식: 전도체가 닿을 때 전류의 변화 인식
- 전도체만 인식해 오작동 가능성 낮음, 빠른 반응속도, 선명한 액정, 멀티터치
- 높은 소비전력, 높은 제조단가, 두꺼운 장갑 등 불가
Multituch Interface
- tap / press(hold) / double tap / flick / drag
- pinch in, pinch close (축소 등)
- spread(확대 등)
- roatae
2) Gesture Based Interaction
- Motion Tracking interafce: 손가락 제스처를 인식하여 사진찍기
3) VUI (Voice User Interaction)
- TTS / 디바이스와 음성 상호작용
- 홈 오토메이션의 핵심: TTS, VUI
4)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 제스처 유저 인터페이스와 보이스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사용
5) WIMP
- GUI를 채택한 컴퓨터. gui의 일종
- windows, icon, menu, mouse, pointer
6) WYSIWYG :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당신이 본 대로 나오는 것
2. 사용성이란 무엇인가
7) 햅틱
- 힘이나 진동, 모션을 적용해 터치 경험을 생성
8) 글자를 이용한 인터랙션
- CLI(Command Line Interface) : 키보드로 명령어 입력하여 응답을 받아내는 방식
9) 대화형 인터랙션
- 문자로 인공지능과 대화 (시리, 빅스비 등)
권한 기반 인터페이스
- 로그인하는 사람에 따라 다른 권한을 부여하는 것
- OTT의 어린이 권한, 인트라넷, LMS 등
Usability : 사용성
사용자의 범주
사용자
- 시스템을 동작하는 사람
- 시스템의 결과물을 사용하는 사람
- 시스템을 지원하는 사람
사용자 그룹
- 사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용자
- 작업 또는 환경의 특성에 의해 다른 사용자와 구별되는 사용자의 집합
이해관계자 (stakeholder)
- 결정이나 활동에 영향을 미치거나 받거나 받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사람 도는 좆기
- 이해관계자에 따라 다른 요구와 기대 존재
사용성의 대상
- 제품: 사람이나 기계가 만든 물건
* 소비자 제품: 개인적 목적으로 개인이 구입하여 사용하도록 의도된 제품
- 서비스: 고객이 달성하고자 하는 결과를 제공하여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수단
- 시스템: 하나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된 상호작용하는 요소의 조합
* 인터랙티브 시스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그리고 관련된 사람들로 구성
사용성의 목적
- 효과성: 사용자가 하려는 것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것
- 효율성: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것. 자원을 최소한으로 사용
- 만족감: 사용자의 신체적,인지적,정서적 반응이 사용자의 요구와 기대를 얼마나 충족시키는지
사용성을 좋게 만드는 방법
- 사용성은 특정 상황(맥락)에 의존적: 시간, 장소, 국가, 문화 등
-> 사용자와 사용자가 가진 각각의 맥락을 이해해야 함
좋은 사용성
- 정기적/지속적으로사용자의 목표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만족스럽게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일관적 효과 / 쉬운 학습성 / 비정기적 사용 시 쉬운 사용
- 각각 능력이 다른 사람들이 사용 간으: 유니버설 디자인
4. 접근성과 유니버설 디자인
1. 접근성과 웹 표준
10가지 사용성 휴리스틱 : 사용성 프레임워크. 사용성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
1) 가시적 시스템 상태
- 시스템은 적절한 피드백을 주어야 함
- 시스템은 사용자가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 수 있게 정보를 주어야 함 ex) 프로그레스 바
2) 실제 사용환경과 매치되는 시스템
- 사용자에게 익숙한 단어, 언어 사용
- 실제처럼 자연스럽고 논리적인 순서로 정보를 나타내야 함
3) 사용자의 주도권과 자유
- 대화상자 등을 거치지 않고 원하지 않는 상태를 벗어나기 위한 방법을 명확하게 표시
- 실행취소/다시실행 지원
4) 일관성과 표준
- 같은 상황에서 다른 말/상태/작용이 같은 것을 의미하게끔 하여 혼란을 주지 않기
- 플랫폼의 관례를 따르기
5) 오류 예방
- 처음부터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깊게 설계
-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조건은 제거하거나 미리 체크해 사용자가 작업을 취하기 전 확인 옵션 제공
6) 회상보다는 인지
- 개체, 동작, 옵션 시각화 -> 사용자의 기억력 부화 최소화
- 사용자가 정보를 기억할 필요가 없게 함
- 사용지침은 눈에 잘 띄거나 쉽게 검색할 수 있게 함
7) 사용 유연성과 효율성
* personalisation :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직접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함
8) 아름다운 최소한의 디자인
less is more : 관련없거나 필요없는 정보는 포함하지 않기. 정보가 추가될 때마다 관련 정보와 경쟁하고 상대적으로 정보 가시도를 줄이기
9) 사용자가 오류를 인지-진단-회복할 수 있도록 도움
- 오류 메시지는 일반적인 언어로 표현. 문제를 정확히 나타내고 해결방안을 건설적으로 제안
10) 도움말과 설명서
- 검색하기 쉽고, 업무에 초점을 맞추고, 구체적 단계를 나열
- 너무 방대하지 않아야 함
접근성: 특정 지역/시설로 접근할 수 있는 간으성
UI 디자인에서 접근성: 정보 탐색/이용이 용이한 안전한 디자인
UI를 사용한다는 것: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과업을 수행하는 것
- 목표(Goal): 의도된 결과물 / 과업(Task): 목표 달성을 위해 수행되는 일련의 활동
인간 중심 품질(human-centered quality)
- 사용성 / 접근성 / 사용자경험 / 사용으로 인한 피해방지 및 최소화
사용자 경험: 시스템, 제품, 서비스의 이미지 등이 종합적으로 만들어내는 결과물. 사용 맥락, 경험, 태도 등에 영향
사용으로 인한 피해방지 및 최소화
- 사용 오류: 사용자의 동작과 관계없이 제조업체나 사용자가 기대한 것과 다른 결과를 초래하는 것
인간 중심 디자인
- 사용자뿐만 아니라 여러 이해관계자에 대한 영향도 다루는 디자인
- 생산성이 높아지는 디자인
- 사용자 웰빙이 향상되는 디자인
- 스트레스 방지, 접근성 향상, 잠재적 피해 위험 감소
2. 유니버설 디자인
웹 표준 관장 기관
1)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 회원 기구, 공공기관이 협력해 웹표준을 개발하는 국제 컨소시엄
- 웹 기술은 상호간 호환성이 있어야 함, 어떤 sw/hw에서도 웹에 접근 가능해야 함 - 웹 상호운용성
2)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
3) 국제 표준화 기구(ISO)
4) 유니코드 컨소시엄
5) Ecma 인터내셔널
웹 표준 디자인의 장점
- 적절한 인덱싱
- 일목요연한 메타데이터 정리
- 효율적 리뉴얼, 유지보수 ex) 크로스 브라우징
웹 접근성 표준
1) 인지 가능한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ex) 대체텍스트
2) 운용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내비게이션 ex)충분한 시간 제공, 발작이나 신체적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콘텐츠 제공
3) 이해하기 쉬운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ex) 읽고 이해하기 쉬운 텍스트
4) 견고한 콘텐츠와 정확한 설명 ex) 미래의 다른 기기, 상황에서도 호환 가능한 콘텐츠
유니버설 디자인 4원칙
- 지원성: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최소한의 노력으로 사용
- 접근성: 장애물 없이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함
- 수용성: 사용자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목표 달성 과정도 만족스러워야 함. 환경과 요구 추족
- 안정성: 오류나 결함 등으로 심리적/신체적 위험에 노출되지 않아야 함
유니버설 디자인 7원칙
1) 동등한 사용: 누구에게나 유용하고 구매가치가 있어야 함
2) 사용상의 유연성: 각 개인의 선호도, 개성, 능력에 부합. 각자 선택할 수 있게
3) 단순하고 직관적인 이용법
4) 정보 이용의 용익: 사용법을 금방 알 수 있게 함
5) 오류에 대한 포용력: 우연한 행동에 의한 역효과와 위험 최소화
6) 최소의 물리적 노력: 적은 힘으로 효과적, 안전, 효율적인 사용
7) 접근과 사용을 위한 충분한 공간: 누구라도 이용이 쉽고 조작이 쉬운 공간이나 크기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