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C

1주차

avocado8 2024. 9. 25. 14:05

케이묵 수강신청 인증

 

1 . UX 디자인 프로젝트 이해하기

UX 디자인 프로세스

- 더블 다이아 모델(DDM)이 가장 광범위적으로 사용 : 프로젝트 내적인/하위 내용은 이해하기 쉽지만 프로젝트 상위/메타적인 이해는 누락될 가능성 O

- 프로젝트를 통해서 도달할 기업 차원의 목표, 기대효과 파악

- 변형된 더블 다이아 모델

ㄴ 이해하기 프로세스 추가

ㄴ 어느 정도의 규모로 진행할지, 누가 의사결정권자/이해관계자인지 파악, 산업/기업/비즈니스에 대한 이해 선결 -> 효율적 전략설정 가능

 

산업분석

산업 : 인간의 생활을 경제적으로 풍요롭게 하기 위해 재호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활동/조직

top-down approach : 경제분석 -> 산업분석 -> 기업분석

Bottom-up approach : 기업 -> 산업 -> 경제

 

기업의 경영전략

ⓐ BCG(시장 규모와 점유율) 매트릭스

- 시장에서의 점유정도와 산업의 성장 정도를 분석하는 대표적인 분석 방법

- 상대적 시장점유율(x)과 시장성장율(y)을 축으로 사분면을 이룸

BCG 매트릭스
문제아 (Problem Child, ?)
- 향후 성장률은 기대되나 점유율은 낮음
- 상황에 따라 dog가 되거나 star가 되거나 
- 신규사업 진출
별 (Star)
- 시장 성숙단계에 도달하지 못한 단계 
개 (Dog)
- 철수해야 할 사업
자금젖소 (Cash cow)
- 지금은 돈 많이 버는데 나중엔 모름
- 미래를 위해 투자

 

ⓑ GE 맥킨지 매트릭스

- 시장과 산업의 매력도 / 기업의 시장 경쟁력을 축으로 함. 각각 저/중/고 3개 영역으로 분리

- 청신호 지역( + + ) / 황신호 지역 / 적신호 지역( - - )

 

ⓒ SWOT 분석

기업의 비즈니스나 프로젝트, 조직 등을 분석, 전략 세우기 위한 분석방법

  Helpful/긍정 Harmful/부정 
Internal Strengths 강점 Weakness 약점
External Opportunities 기회 Threats 위험

 

SO 전략: 강점을 기회로 강점을 더 강하게

WO : 약점을 기회로 약점 극복

ST: 위협을 강점으로 극복

WT: 약점 회피

 

- 광범위하게 사용되나 정성적이고 모호 -> 분석하는 사람에 따라 차이

 

ⓓ 5 Forces 분석

 산업에 작용하는 5가지 압력을 이해하기 위해 만들어짐

- 산업내 경쟁 강도 : 산업 성장률, 고정비, 유휴설비 ...

- 구매자의 교섭력 : 구매비중, 구매물량, 제품의 차별화 정도, 교체비용, 구매자의 후방통합 능력 ...

- 공급업체의 교섭력 : 공급업체의 비중, 공급물량, 공급업체의 전방통합 능력...

- 대체품/대체제의 위협 : 기술 발달, 소비자 취향의 변화, 대체품의 가격/효과 ...

- 신규진입자의 위협 : 규모의 경제, 투자규모, 유통경로에 접근, 정부규제 ...

 

제품수명주기

UXD프로젝트가 어떤 수명주기의 제품을 대상으로 하는지를 염두하고 프로젝트 수행

- 도입기 : 인지도 낮음, 소비습관 저항으로 완만한 매출증가

- 성장기 : 고객들을 만족시키면 판매 급속 증가

- 성숙기 : 매출성장률이 지속적으로 둔화, 시장은 점점 커지는 단계, 소수의 기업 시장주도 

- 쇠퇴기 : 투자중지, 회수/철수

 

혁신확산곡선

시장에서 구매자들은 총 5가지 종류가 존재

- 이노베이터 / 얼리어답터 / 초기 메이저리티 / 후기 메이저리티 / 레가드

얼리어답터 - 초기메이저리티로 넘어가는 단계 : Chasm

임계점(티핑포인트) 를 넘어야 (캐즘을 뛰어넘어야) 생존가능...

 

기술수명주기

기술의 가치 변화, 발전방향, 경쟁 구조 등을 파악하는 것

- 어느 기술이든 유사한 수명주기 패턴 보임

- S-Curve 이론, 가트너사의 Hype Cycle

 

Stakeholder Map

이해관계자의 관계를 파악하고 니즈와 동기, 영향력의 크기, 관계의 특성을 시각화

- B2B,B2G 마켓에 더 효과적

- 공유/구독경제에 더 효과적 ex)공유자전거

- 작성방법

1) 이해관계자를 망라해서 목록 작성

2)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상호작용, 이해관계 구조, 편익, 가치교환 흐름 분석

3) 이해관계자 간 잠재적 대립요소와 니즈 파악

4)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비즈니스와의 관련성에 따라 맵핑, 시각화

- 초기 작성해 이해단계에서 활용하거나 Define 단계에서 제품과 결과물의 방향을 정할때 활용 가능  

 

Kano Model

제품이 얼마나 큰 매력을 갖고 있는지 파악

- x축: 기능 구현 (소비자가 기대하는 것의 충족, 불충족) / y축: 주관적 만족

- 일차원적 품질요소(Performance) : 충족되지 않으면 고객들의 불만을 일으키는 품질요소 (구현과 만족이 정비례)

- 매력적 품질요소(Excitement) : 충족되면 만족, 충족이 안되어도 큰 불만족 없음 ex) AI배경지우기

- 당연한 품질요소(Basic) : 충족되어도 별다른 만족x, 충족되지 않으면 강한 불만 야기 ex) 통화품질. 폰카메라의 화질/화소

+ 무차별 품질요소 : 큰 품질차이가 느껴지지 않는 것. 사용자가 안 쓰는 기능

+ 역품질 요소: 기능이 충족되면 불만족이 커지는 품질요소

같은 기능이라도 시간에 지남에 따라 매력적 - 일차원적 - 당연적 품질요소로 변화

- 분석방법

1) 측정하고자 하는 기/서비스에 대한 긍정질문(기능이 있다면 어떤지)/부정질문(기능이 없다면 어떤지)을 한 쌍씩 준비

답변은 맘에든다 / 당연하다 / 상관없다 / 어쩔수없다 / 맘에안든다 5가지 

2) 응답자의 응답을 25개 배치표에 배치

3) 표를 바탕으로 고객의 만족/불만족 계수 산출

 

Business Model

기업의 업무, 제품 및 서비스의 전달방법, 이윤창출 방법을 나타내는 모형 (어케 돈을 벌 것인가)

1) Business Model Canvas

- 시간/가치흐름에 따라 9개의 블록으로 구성

- 가치제안 / 고객세분화 / 채널(유통) / 고객관계 / 핵심홀동 / 핵심자원 / 핵심파트너 /// 비용구조 / 수익원

- 상태 유지/개선을 위한 양적인, 질적인 노력 다각도로 접근

2) Lean Canvas

- 시장에서 스타트업의 핵심 아이디어를 빠르게 검증하는 것

- 비즈니스모델 캔버스에서 일부는 유지, 일부는 변형

- 만든 해결책이 시장에서 잘 작동하는지 빠르게 점검, 검증

 

 

2. 리서치의 개괄 및 인터뷰

리서치

- UX 디자인 프로세스의 첫 단계

- 더블다이아몬드모델에서는 Discover 단계

- 발산적인 성격. 섣불리 결론을 내리기보다는 일정 시간까지 조사내용을 계속 모아나가며 상위차원의 결정을 내리지 않는 태도가좋음

 

리서치 방법

1) 양적 조사 (정량 조사, 실증적 조사)

- 경험적 자료 또는 수량화 된 자료를 수집하는방식, 수치와 통계이용

- 표준화된 조사 방법의 적용이 쉬움 (설문, 실험 데이터 등)  

2) 질적 조사 (정성 조사, 해석적조사)

- 수치화되지 않는 자료를 다룸

- 표준화된 조사방법의 적용이 어려움. 기술적 차이가 드러남 (인터뷰, 관찰 등)

 

1) 데스크 리서치 : 자료를 찾는 조사

2) 현장연구

3) 연구실 조사 : 실험환경을 통제

 

연구목적, 진행단계에 따라

1) 탐색적 조사

- 초기 초보적인 단계에서 진행

- 사전지식이 없거나 사전 선입견이 없을 때 방향을 찾기 위한 조사

-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

2) 기술적 조사

- 현상을 체계적으로 서술

3) 인과관계 조사 (설명적 연구)

-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따짐. 미래를 예측하는 조사

 

논리전개 방식에 따라

1) 귀납적 연구 : 현상에서 일반이론 도출. 경험주의

2) 연역적 연구: 개념적인 것에서 구체적인 것으로

 

연구 주체에 따라

1) 일차 조사 : 가공되지 않은 자료를 다룸. 직접조사 

2) 이차 조사 : 다른 연구자가 다른 목적으로 얻고 가공한 자료를 활용. 간접조사

 

조사계획 수립

- 여러 조사방법을 잘 믹스하는 것이 필요

ex) 간접조사, 이차조사 -> 직접조사

 

삼각측량법

- 무엇을, 어떤 연구를 섞어 쓸 것인가

정성연구와 정량연구를 섞어 바람직한 연구 방법 사용 (조합에 대한 규정 X. 성격에 따라 융통성 있게 구성) 

리서치 방법의 다각화로 안정적이고 타당한 결과 도출  ex) 현장관찰 + 인터뷰 설문 + UT 실험 + 트렌드 분석, 이차 조사

 

데스크 리서치

- 이차조사. 문헌조사의 하나

- 필요한 지식을 적은 비용으로 빠르게 얻을 수 있음, 객관성 확보

- 뚜렷한 목적의식 없을 경우 목표가 표류할 수 있음, 경우에 따라서는 일차조사보다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듦     

- 좋은 이차조사를 위해 필요한 것 :

ⓐ 이차조사 자료에 대한 자신의 관점과 조사 목표 유지

ⓑ 반드시 참조 달기

 

PESTPILO / STEEP 분석

- 정치적 / 경제적/ 사회적 / 기술적 환경 분석

 

인터뷰 절차

1) Preparation : 계획수립 인터뷰스케줄 짜기

- Plan: 목적 ,대상범위, 방법, 인터뷰 스크립트

- 연락, 스케줄 짜기, 준비물 준비

2) Introduction : 목적/개요 허락확인

- 인터뷰 목적과 개요 알려주기, 허락, 사례 등 밝히기

- 리크루팅 시에 이미 공지된 내용 확인

3) Warm-up : 친밀한 분위기 형성

- Rapport 형성, 아이스브레이킹

4) General issue : 전반적인 질문

- 구조화된, 미리 준비된 질문

- 답변을 들으면서 초점 형성

5) Deep Focus : 관심초점에 대한 집중질문

- 비구조화된 인터뷰, 사전질문이 아닌 경우 많

- 전체 인터뷰의 흐름 지키기

6) Retrospective 확인

- 재확인, 추가의견 등 필요시 진행

7) Wrap-up : 정리, 사례

8) Analysis: 분석, 해석

- 녹취 전사

- Raw Data 유지 필요

 - 인터뷰 종료 후 빠르게(생생함이 사라지기 전에) 진행

 

인터뷰어의 태도

- 편안하게 해주기, 열중해서 들어주기

- 초점을 유지하되 편견(예단)하지 않기

- 정답이 아닌 의견을 듣고자 하기

- 한번에 하나씩 질문하기

-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질문하지 않기, 대화흐름이 끊어지지 않게 대화 이끌어내기

- 유도질문 하지 않기

 

5 Whys

문제를 기술하고 '왜' 라는 질문을 던지고 질문에 답변하는 과정을 반복

Whys를 몇 차례까지 실행할지, 원인과 해결책으로 무엇을 볼지는 사람에 따라 다름 (Art의 영역)

인터뷰 도중 적용 

- 사고를 숙성할 여유를 주어야 함

- 인터뷰이가 압박받는 느낌이 들면 X  

인터뷰 종료 후

- 보다 분석적인 자세로 참여 가능

 

전문가 인터뷰

- 특정 주제에 대한 전문가를 섭외하거나 만나서 질문

- 정확하고 압축적인 정보를 빠르게 얻음

- 찾기 어렵고 비용 문제

 

델파이 기법 (전문가 합의법)

- 전문가 패널을 구성해 여러차례 설문/ 서면 인터뷰를 반복해 결론을 내리는 정성적 분석기법

- 패널에게 익명 질문 -> 결과 종합 과정 반복해 의견일치(합의)를 보는 과정

 

 극단적 사용자(Extreme User) 인터뷰

- 새로운 시야를 얻기 위해 진행

- 엄청 많이 쓰는 or 엄청 안 쓰는 사용자들 인터뷰

 

FGI(Focus Group Interview)

- 표적집단 면접 / 관심집단 면접

- 현장에서 벗어나면 context가 누락되기 쉬움, 그룹의 영향을 받음

- 사전 인터뷰가 중요 - 사고의 숙성

 

비대면 인터뷰

- 인터뷰이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장소 선택

- 사전 장비세팅 꼼꼼히 점검

- 답변은 정확한 발음으로 크게 하도록 유도

- 시간/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음, 참여자/인터뷰이의 편의 고려 가능, 물리적 준비물 줄어듦, 내용의 디지털라이징이 쉬움

- 인터넷연결 불안정, 녹화가 안될 경우 매우 치명적, 몰입할 상황이 깨지기 쉬움

 

의사소통에 의한 방법(인터뷰, 설문)의 장단점

- 사람들이 원한다고 말하는 것만 조사 가능 

- 사람들의 경험에 제한적

- 시제품 평가, 수정에 유용

- 신제품을 정의하거나 잠재적인 사용자의 요구를 밝히고자 할 떄는 부적합

 

근거이론

- 인터뷰는 정성적인 자료이지만 보다 정량적인 방법으로 정리 필요

- 분석에 체계적, 객과적인 방법 적용 -> 근거이론 사용

: 실제 자료를 근거로 하나의 이론을 만들어내는 방법론

- 인터뷰 내용을 전사 -> 오픈코딩 (핵심적 요소를 뽑아 진행) -> 선택코딩 (유사한 내용들을 같이 모음) -> 이론적 코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