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를 확실히 잡는 게 좋을 듯함.. AI도슨트의 효과 << 어떤 효과인지? 어떤 지표를 쓸 건지.. 구체적으로 들어가는 게 좋지 않을까 창의성이나 표현력 등등
- 아님 아예 초등학생을 위한 챗봇< 에 초점을 두는 건 어떨지
- 근데 생각해보니... 주체적 미술감상이라면 꼭 "초등학생" 에 초점을 두어야 할까?
꼭..... 초등학생이어야 할 필요가 있나...?
1. 아동의 지속 참여 의도 증진을 위한 보상 전략 제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일상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챗봇 ‘뽀미’를 대상으로
강화이론 / 챗봇 / ADHD / 초등학생
ADHD아동 대상, 보상이 아동의 참여를 증진시킨다는 가설 연구
유의미한 결과는 없었음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30350
DBpia
논문, 학술저널 검색 플랫폼 서비스
www.dbpia.co.kr
2. 인공지능 미술 작품이라는 사실의 인지 여부가 감상자의 작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미지생성ai / 작품감상 / 인공지능 예술에 대한 인식인공지능그림인지 인지함 / 인지하지않음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감상평가.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대상으로인지보다 비인지 그룹에서 점수가 높았음. 결론: 인공지능 미술 작품이라는 사실이 작품 감상에 있어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61968
DBpia
논문, 학술저널 검색 플랫폼 서비스
www.dbpia.co.kr
3. 챗봇의 의인화와 자기노출이 챗봇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챗봇이 자기를 많이 노출하고 의인화될수록 사람들의 인식이 좋아지는가? - 결론: 별 차이 없다.
자기노출이 많은챗봇: 이름부여, 자기소개, 외관부여... 등으로 한듯. 오히려 신뢰성은 자기노출이 낮을 때 높았다는 점이 좀 재밌다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21225
DBpia
논문, 학술저널 검색 플랫폼 서비스
www.dbpia.co.kr
4. LLM과 상호작용하는 RAG 기반 AI 캐릭터
자연스러운 대화를 위한 RAG 기반 챗봇연구. 챗봇의 기억 간 유사도를 측정해 기억의 우선순위를 세우고 대화에 반영하는 식
참고할 건 생각보다 별로 없는데 짧아서 함 볼만할지도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949322
DBpia
논문, 학술저널 검색 플랫폼 서비스
www.dbpia.co.kr
5. ChatGPT에서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RAG 프로세스 연구
LLM 신뢰성향상(환각방지)을 위해 파인튜닝과 RAG을 비교. RAG기반 모델이 좋은 성능을 보임
왜 파인튜닝은 하지 않았나~ 같은 것에 인용할 수 있을지도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11917844
DBpia
논문, 학술저널 검색 플랫폼 서비스
www.dbpia.co.kr
6. 초등학생 대상 SW·AI 융합형 디지털 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학생 대상 SW/AI 교육프로그램 세부절차를 다음과 같이 설정함:
Design/Development - Pre-Test - Implementation - Post-Test - Data Analysis - Derivtion of Implications
우리 절차랑 비슷할 수 있을 것 같아서 긁어옴
개발 프로그램 적용 - 디지털시민성, 컴퓨팅사고력 등의 향상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774468
DBpia
논문, 학술저널 검색 플랫폼 서비스
www.dbpia.co.kr
7. AI 활용 예술융합교육이 초등학교 5학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교육부가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인재 역량으로 자기주도성과 창의성을 강조했다고 함
인공지능 활용 예술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인공지능 활용해 그림 그리기, 연주, 작곡하기 / 디지털 전시회 개최 - 창의적 능력 향상
https://www.dbpia.co.kr/journal/detail?nodeId=T16142289
AI 활용 예술융합교육이 초등학생 5학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 DBpia
양다예 | 경인교육대학교 | 2022
www.dbpia.co.kr
8. 학교 내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관교육 프로젝트 개발 : 초등학생 대상 대화 중심 감상을 기반으로
이론 참고
하우젠의 미적발달이론 (미적발달단계) : 설명 - 구성 - 분류 - 해석 - 재창조
아레나스의 대화중심 감상지도방법
https://www.dbpia.co.kr/journal/detail?nodeId=T15787476
학교 내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관교육 프로젝트 개발 : 초등학생 대상 대화 중심 감상을 기반으로
신혜선 | 경인교육대학교 | 2021
www.dbpia.co.kr
9. 비전공자들의 주체적 감상을 위한 풍자화 감상수업 실행연구 :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기반으로
'주체적 감상' 의 정의, 펠드먼의 비평단계 이론
" . 주체적인 감상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습을 통해 자발적으로 감상하는 과정을 습득하기 보다는 자신만의 자유로운 감상을 일으키는것에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결과적으로 미술 감상을 통해 작가와대화하고 스스로를 뒤돌아볼 수 있는 자세의 토대와 근간이 되어준다. "
작품 선정의 기준
N2 OpenLink User Authentication
access.ewha.ac.kr
링크왜안열리지
10. 미술 비평을 활용한 대화 중심 미술 감상 수업 연구 = A Study on Conversation-Based Art Appreciation Programs Using Art Criticism
주제탐색 당시에 본 것 같기도 한데
우리 플젝과 이론적으로 가장 유사함
https://www.dbpia.co.kr/journal/detail?nodeId=T16095274
미술 비평을 활용한 대화 중심 미술 감상 수업 연구 | DBpia
권정옥 | 부산교육대학교 | 2022
www.dbpia.co.kr
11.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감상수업이 비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https://www-dbpia-co-kr-ssl.access.ewha.ac.kr/journal/detail?nodeId=T14138424
N2 OpenLink User Authentication
access.ewha.ac.kr
12. 아동 정서불안 해소를 위한 의약품 패키지 캐릭터 디자인 제안- 천식약 브랜드 노이안을 중심으로 -
https://www-dbpia-co-kr-ssl.access.ewha.ac.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976484
N2 OpenLink User Authentication
access.ewha.ac.kr
'캡스톤'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 AI 도슨트와 채팅하며 명화 작품 감상하기 : 부드러운 채팅 인터랙션을 구현하자 (3) | 2024.11.19 |
---|---|
프롬프트란... (0) | 2024.07.10 |
GPT 모델로 미술 작품 감상을 위한 채팅봇 구현하기 (0) | 2024.05.27 |
기술 검증 (0) | 2024.04.12 |
주제탐색(4) (0) | 2024.04.08 |